유동성 뜻과 유동 비율 당좌 비율 현금 비율 등 구하는 공식과 뜻

2022. 11. 28. 05:41재무 관리

728x90

유동성 : 유동성의 뜻은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1년 안에 갚아야 할 차입금( 빌린 돈)을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뜻입니다. 사실 이렇게만 이해하면 조금 난감한 설명일 수 있습니다. 제가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뉴스나 기사에서 어떤 기업이 유동성이 좋지 않다 또는 나라에 유동성이 심각하다 라는 것은 1년 안에 갚아야 할 차입금( 빌린 돈) 보다 가지고 있는 현금이 부족하거나 비슷한 현상을 말합니다. 간단하게 유동성이라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1년 안에 갚아야 할 빚을 갚고도 현금이 남으면 유동성이 좋다고 말하고 ,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보다 1년 안에 갚아야 할 차입금( 빌린 돈)이 많으면 유동성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재무제표 분석 중에는 유동성을 가장 먼저 봐야 합니다. 만약 아무리 돈을 많이 벌고 있다는 기업 매년 성장하는 기업이라 한들 유동성이 좋지 않다면 하루아침에 부도가 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재무제표를 분석하기 전 유동성을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하지만 유동성 비율을 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자산만 가지고 하는 비율도 있고 현금만 가지고 하는 비율 또는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체크하는 비율까지 제가 가장 필요한 몇 가지와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유동비율

유동비율은 유동성 자산과 유동 부채를 사용하여 구하는 공식입니다. 사람들은 이 방법을 사용하여 유동비율을 많이 확인합니다 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유동성 자산총액) / (유동성 부채 총액) = 유동비율입니다. 평균적으로는 숫자의 2가 업계의 평균적인 수치입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면 1년 안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현금은  50만 원이고 유동성(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부채) 부채가 25만 원이라면  50/ 25 = 2 유동성 비율은 2가 이상적이고 평균적인 수치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동성이 너무 좋은 기업은 현금을 너무 많이 가지고만 있고 투자활동 또는 여러 영업활동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너무 좋아도 좋은 기업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2 당좌비율

당좌비율은 유동성 자산 중에 재고자산만 빼고 계산하는 것입니다. 즉 순수 현금만 가지고 한다는 의도와 비슷한데요 당좌자산은 팔지 않고 바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예금이나 단기적금 같은 현금들입니다. 사실 제조업에서는 재고자산도 자산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1년 안에 판매될지도 모르는 재고자산을 가지고 있는 자산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서비스업을 제외한 제조업 요식업 등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즉 서비스업 빼고 제조업들은 당좌비율로 계산하여 측정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유동성 자산 총액 - 재고자산 ) / (유동성 부채 총액) = 당좌비율 이것 또한 이상적인 수치는 1로 보고 있습니다.

 

3현금비율

현금비율은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빚을 얼마나 갚을 수 있는지 보는 것입니다 만약 빛이 5만 원이고 현금 및 현금성 자산만 2만 5천 원 가지고 있다면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만 50% 를 갚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 ( 유동 부채 ) =  현금 비율입니다. 이것은 따로 표준치가 없으며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유동부채를 얼마나 갚을 수 있는지 돈을 더빌리지 아니면 빌리지 말지를 의사결정 내릴 수 있는 비율입니다.

 

4 현금 구성비율

현금 구성 비율은 말 그대로 현금이 구성된 비율입니다 유동자산 중에 현금이 얼마큼 되어있나?라는 것을 알아보는 것입니다. 이것은 유동자산 내부에 대한 평가를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식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 유동자산) = 현금 구성비율입니다

 

5 현금 보상률

현금 보상률은 기업의 현금으로 단기차입금을 얼마나 상환할 수 있는지 상황 능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식은 현금비율과 굉장히 비슷한데요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단기 차입금) = 현금 보상률입니다 사실 현금비율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현금 보상률과 현금비율은 같은 맥락에서 같은 것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즉 기업이 빚을 갚을 능력이 되는지를 평가할 때 현금비율 현금 보상률을 사용하기 때문에 둘이 형제 같은 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728x90